
서울특별시 성북구 인구수, 경제, 교통 완전 정리
서울 북부의 중심이자 교육과 문화의 요지인 **성북구(城北區)**는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는 지역으로, 대학·연구기관·문화유산이 밀집된 지성의 도시입니다.
역사적인 유산과 풍부한 자연환경, 그리고 주거 안정성으로 인해 살기 좋은 문화·교육 중심도시로 손꼽히며, 최근에는 재개발 및 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더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1. 개요
성북구는 서울 도심과 북부 산지를 잇는 자연 친화적 구역으로, 교육·문화·주거 기능이 균형 잡힌 지역입니다.
- 위치: 서울특별시 북부, 북한산 남쪽에 위치
- 면적: 약 24.6㎢ (서울시 전체 면적의 약 4.1%)
- 인구: 2024년 기준 약 42만 4천 명
- 특징: 서울의 대표적 교육·문화 중심지, 주거와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지역
- 행정구역: 20개 동 (성북동, 정릉동, 길음동, 돈암동, 장위동 등)
성북구는 북한산과 정릉천을 품은 천혜의 자연환경 속에서, 서울 도심과 가까운 주거지로서 인기가 높습니다. 또한, 고려대학교·성신여대·한국예술종합학교 등 명문대학이 밀집해 있어 청년층 유입이 활발한 지역이기도 합니다.

2. 인구 구조 및 변화
성북구는 서울시 내에서도 인구 규모가 큰 편으로, 교육기관 중심의 청년 인구와 안정된 중산층 주거 인구가 공존하는 도시입니다.
| 년도 | 월 | 인구수 | 전월비 (+, -) |
| 2025 | 8 | 424,129 | -118 |
| 2025 | 7 | 424,247 | 217 |
| 2025 | 6 | 424,030 | 985 |
| 2025 | 5 | 423,045 | 1,446 |
| 2025 | 4 | 421,599 | 1,219 |
| 2025 | 3 | 420,380 | -191 |
| 2025 | 2 | 420,571 | -139 |
| 2025 | 1 | 420,710 | -850 |
| 2024 | 12 | 421,560 | -581 |
| 2024 | 11 | 422,141 | -555 |
| 2024 | 10 | 422,696 | -743 |
| 2024 | 9 | 423,439 | - |
- 인구 밀도: 약 17,200명/㎢
- 특징:
- 장위동, 길음동, 돈암동 등은 대규모 재개발·재건축으로 인구 유입 증가
- 고려대, 성신여대 등 대학 인근은 청년·1인 가구 중심의 인구 구조
- 성북동, 삼선동 등은 고급 주거단지 및 한옥 보존지로 구성
- 고령층과 청년층이 함께 거주하는 세대 혼합형 도시 구조
성북구는 주거환경 개선과 더불어 교육 인프라 확충으로 지속 가능한 인구 구조 안정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3. 경제
성북구의 경제는 교육·서비스업 중심 구조를 기반으로, 지역 내 대학과 연구소, 문화기관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산업 및 상권
- 교육 산업:
- 고려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등 주요 대학이 위치
- 교육 관련 출판, 학원, 연구기관, 스타트업 기업 활발
- 상업 및 서비스업:
- 돈암동, 길음역, 정릉, 장위 일대에 생활 상권 집중
- 대형마트, 복합쇼핑몰, 전통시장(돈암시장, 장위시장 등) 공존
- 문화·의료 산업:
- 한성대입구·성북로 일대 문화예술 상권 형성
- 고려대병원·성북병원 등 의료서비스업 발달
성북구는 대기업보다는 교육·연구·생활 중심의 중소규모 경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최근에는 창의산업(디자인, 예술, 콘텐츠)의 성장세도 뚜렷합니다.

4. 교통과 인프라
성북구는 서울 북부의 교통 요지로, 지하철·버스·도로망이 잘 연결되어 있는 지역입니다.
- 지하철 노선:
- 4호선 (성신여대입구·길음·한성대입구)
- 6호선 (보문·안암·월곡·돌곶이)
- 7호선 (하계·장암 방면 연결, 북서울 중심 연계)
- 경춘선, 분당선(청량리 인접)
- 도로망:
- 내부순환로, 동소문로, 정릉로, 종암로 등 주요 간선도로 발달
- 도심·강북·강남 간 이동이 용이한 복합 교통망
- 주요 교통거점:
- 길음역·성신여대입구역: 상권과 주거가 결합된 복합지역
- 보문역·안암역: 대학가 중심 문화지구
- 월곡역·장위동: 신흥 주거지로 급부상
장위뉴타운과 길음뉴타운을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며, 보행친화형 스마트시티 인프라 구축도 진행 중입니다.

5. 문화와 관광
성북구는 서울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중심지로, 다양한 역사유적과 예술공간이 공존합니다.
주요 관광 명소
- 성북동 한옥마을: 전통 한옥이 보존된 문화예술인 거주지
- 간송미술관: 대한민국 최초의 사립미술관
- 정릉: 조선 태조비 신덕왕후의 능, 세계문화유산 등재
- 삼청각: 전통문화체험과 공연이 이루어지는 복합문화공간
- 북한산둘레길: 자연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는 도심 속 휴식지
문화시설 및 축제
- 성북문화재단, 성북문화예술회관, 성북예술창작터, 성북도서관
- 성북문화예술축제, 성북거리축제, 정릉문화제 등 매년 개최
- 예술인 거주지 지원사업, 청년 창작공간 조성 사업 활발
성북구는 예술과 전통이 일상 속에 녹아 있는 **“서울의 문화적 심장부”**로 평가받습니다.

6. 미래와 도전 과제
성북구는 “교육과 문화의 융합도시”를 비전으로 삼고,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추진 중입니다.
발전 방향
- 스마트 교육도시: AI 기반 교육 플랫폼,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
- 문화산업 육성: 예술인 창작공간 확대, 지역문화 거점 활성화
- 주거환경 개선: 뉴타운 정비 및 재건축을 통한 주거 품질 향상
- 친환경 정책: 정릉천·북한산 중심의 녹지축 보전, 저탄소 도시 구현
도전 과제
- 교육기관 중심의 상권 편중으로 인한 지역 간 불균형
- 재개발 지역의 원주민 이주 문제
- 도심 교통 혼잡 및 주차 공간 부족
- 문화보존과 현대개발 간의 조화 필요
성북구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며, 교육·문화·주거가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지성 도시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7. 결론
서울특별시 성북구는 교육·문화·자연이 조화를 이룬 품격 있는 도시입니다.
역사적 유산과 대학 중심의 젊은 에너지가 공존하며, 재개발과 도시혁신을 통해 서울의 북부 핵심 생활도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전통과 현대, 학문과 문화가 함께 숨 쉬는 곳 —
그것이 바로 서울 성북구입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서울시 도봉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0) | 2025.11.02 |
|---|---|
| 서울시 강북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1) | 2025.10.29 |
| 서울시 중랑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0) | 2025.10.29 |
| 서울시 동대문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0) | 2025.10.29 |
| 서울시 광진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0) | 20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