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서울시 동대문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by 랭킹인투데이 2025. 10. 29.
반응형

서울시 동대문구 인구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인구수, 경제, 교통 완전 정리

서울의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동대문구(東大門區)**는 오랜 역사와 활발한 상업 활동으로 유명한 지역입니다.
조선시대부터 이어진 전통 시장과 함께, 현재는 패션·디자인 산업의 글로벌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서울의 경제·문화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1. 개요

동대문구는 서울 도심과 동북권을 연결하는 핵심 지역으로, 역사적 유산과 상업시설이 공존하는 곳입니다.

  • 위치: 서울특별시 동북부
  • 면적: 약 10.5㎢ (서울시 전체의 약 1.7%)
  • 인구: 2024년 기준 약 34만 명
  • 특징: 서울의 대표 상업지이자 패션·디자인 산업의 중심지
  • 행정구역: 14개 동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회기동, 이문동 등)

동대문구는 서울 도심과 강북을 잇는 관문 역할을 하며, 청량리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등 교통 요지가 많고, 전통시장·현대쇼핑몰이 공존하는 복합 상업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동대문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야경

 

 

 

 

 


2. 인구 구조 및 변화

동대문구는 주거·상업 기능이 혼합된 도심형 구로, 인구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청량리·이문·회기동 일대 재개발과 신축 아파트 단지 확충으로 젊은 세대 유입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년도 인구수 전월비
(+, -)
2025 8 344,481 786
2025 7 343,695 1,341
2025 6 342,354 96
2025 5 342,258 -58
2025 4 342,316 93
2025 3 342,223 1,514
2025 2 340,709 1,887
2025 1 338,822 87
2024 12 338,735 -876
2024 11 339,611 -688
2024 10 340,299 -387
2024 9 340,686 -
 
  • 인구 밀도: 약 32,000명/㎢
  • 특징:
    • 상업지 주변 유동 인구가 매우 많음
    • 주거지는 청량리, 제기동, 이문동 등 북부 지역에 집중
    • 대학가(경희대·외대·시립대 인근) 인구 유입 활발
    • 외국인 거주자와 자영업자 비중 높음

동대문구는 전통 시장 중심의 도심형 인구 구조에서 점차 젊은 세대와 창업인구 중심의 복합형 도시 인구 구조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동대문구 쇼핑타운

 

 

 

 

 


3. 경제

동대문구는 서울의 대표적인 패션·유통·상업 중심지로, 서울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대문시장과 청량리역 일대는 전국에서 가장 활발한 상권 중 하나로, 전통적인 도매시장과 현대식 쇼핑몰이 공존하는 독특한 상업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산업 및 상권

  • 패션·의류 산업:
    • 동대문시장, 밀리오레, 두타몰, 헬로APM 등은 국내외 도·소매 유통의 중심지
    • K-패션과 온라인 의류 플랫폼을 연결하는 산업 클러스터 형성
  • 서비스 및 창업 산업:
    • 청년 창업자, 의류 디자인 스타트업, 물류·유통 기반 중소기업이 다수 입주
    • 패션 스타트업, 전자상거래 기업, IT 물류 플랫폼 활발
  • 상업 및 유통:
    • 청량리종합시장, 경동시장, 서울약령시 등 전통시장 밀집
    • 대형 쇼핑몰과 소매상권이 결합된 복합유통 구조
  • 기업 및 기관:
    • 패션기업 본사, 물류센터, 온라인 도매 플랫폼 기업, 디자이너 협동조합 등

동대문구는 패션산업의 ‘메카’이자, 서울시 내 상업·유통·창업의 중심지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서울시 동대문구 인구 밀집 지역

 

 

 

 

 


4. 교통과 인프라

동대문구는 서울 동부와 도심을 잇는 교통 요충지로, 철도·지하철·도로망이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 지하철 노선:
    • 1호선 (청량리, 제기동, 신설동)
    • 2호선 (신설동)
    • 4호선 (동대문,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5호선 (청구역 인근)
    • 경의중앙선, 경춘선, GTX-C 노선(예정) — 청량리역 중심
  • 주요 역세권:
    • 청량리역: KTX, ITX, GTX 노선이 교차하는 동북권 최대 환승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지하철 3개 노선 교차, 서울 도심 접근성 최고
  • 도로망:
    • 왕산로, 천호대로, 동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 등 주요 간선도로 발달
  • 특징:
    • 서울 전역 및 수도권 주요 도시 접근 용이
    • 도심형 교통체계와 철도망 중심의 도시 구조

청량리 복합역세권 개발, 동대문패션타운 재정비, 신설동 도시재생사업 등 교통과 상업 중심의 도시 재편이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서울시 동대문구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5. 문화와 관광

동대문구는 서울의 전통과 현대문화가 공존하는 지역으로, 과거의 역사유산과 첨단 디자인문화가 한 공간에 존재합니다.

주요 관광 명소

  •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서울의 대표적 디자인·문화 랜드마크
  • 흥인지문(동대문): 조선시대 서울성곽의 유일한 동문, 서울의 상징 유적
  • 청계천: 도심 속 산책로이자 야간 관광지
  • 서울성곽공원, 광희문, 약령시장, 경동시장: 전통문화와 생활경제의 결합지

문화시설 및 축제

  • 동대문문화재단, 동대문문화센터, 구립도서관, 아트센터
  • 동대문패션위크, 디자인페스티벌, 청량리시장 축제 등 개최
  • 서울패션위크 등 국제행사의 주요 개최지로 글로벌 패션도시 이미지를 강화

동대문구는 서울을 대표하는 패션·디자인·문화산업의 거점이자, 전통시장과 현대문화가 어우러진 관광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동대문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

 

 

 

 

 


6. 미래와 도전 과제

동대문구의 미래는 “글로벌 패션·디자인 중심도시”로의 성장입니다.
도시재생과 산업혁신을 통해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도, 첨단산업 중심의 도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발전 방향

  • 스마트 상권 구축: 디지털 전환, AI 기반 유통망, 온라인 도매시스템 강화
  • 도시재생 및 정비: 신설동·청량리 일대 도시환경 개선, 역세권 고도화 개발
  • 친환경 정책: 청계천·서울성곽 일대의 녹지축 보존 및 재생사업 확대
  • 창업 및 패션산업 육성: 패션테크, 3D 의류디자인, 글로벌 유통플랫폼 육성

도전 과제

  • 상업지 집중으로 인한 주거지 부족 및 임대료 상승
  • 전통시장과 현대상권 간의 경쟁 심화
  • 유동인구 증가로 인한 교통·환경 부담
  • 관광객 중심 지역의 생활인프라 불균형 문제

동대문구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며, 서울의 역사와 혁신이 공존하는 패션·창의 산업도시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동대문구 미래

 

 

 

 

 


7. 결론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는 서울의 역사와 경제를 연결하는 도시입니다.
전통시장과 현대 패션단지가 공존하고, 청량리역을 중심으로 한 교통 요지로서의 가치도 매우 높습니다.

전통의 활기와 현대의 창의가 어우러진 서울의 패션도시 —
그것이 바로 서울 동대문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