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 도봉구 인구수, 경제, 교통 완전 정리
서울의 북단에 위치한 **도봉구(道峰區)**는 북한산과 도봉산을 품은 자연친화적인 주거도시입니다.
쾌적한 환경과 교통 접근성이 결합된 지역으로, 서울 북부권의 주거 안정 중심지이자 생활도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최근 창동·방학동 일대를 중심으로 도시재생과 교통 인프라 확충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도봉구는 자연·주거·문화가 공존하는 자치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개요
도봉구는 서울의 북쪽 끝자락에 자리잡고 있으며, 북한산국립공원과 도봉산을 중심으로 풍부한 녹지와 주거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지역입니다.
- 위치: 서울특별시 북부, 한강 북쪽 끝에 위치
- 면적: 약 24.6㎢ (서울시 전체의 약 4.1%)
- 인구: 2024년 기준 약 30만 6천 명
- 특징: 서울 북부의 대표 주거지, 북한산·도봉산 중심의 자연친화 도시
- 행정구역: 14개 동 (도봉동, 창동, 방학동, 쌍문동 등)
도봉구는 과거 군사시설과 공업지대가 많았으나, 현재는 주거 중심의 생활형 도시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창동역 복합환승센터, 도봉산역 환승개발 등 도시 인프라 확충을 통해 서울 동북부 발전의 핵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 인구 구조 및 변화
도봉구는 안정된 주거 기반과 더불어, 교통 및 생활 인프라 개선으로 인해 꾸준한 인구 유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년도 | 월 | 인구수 | 전월비 (+, -) |
| 2025 | 8 | 300,879 | -282 |
| 2025 | 7 | 301,161 | -393 |
| 2025 | 6 | 301,554 | -305 |
| 2025 | 5 | 301,859 | -329 |
| 2025 | 4 | 302,188 | -357 |
| 2025 | 3 | 302,545 | -163 |
| 2025 | 2 | 302,708 | -349 |
| 2025 | 1 | 303,057 | -171 |
| 2024 | 12 | 303,228 | -240 |
| 2024 | 11 | 303,468 | -457 |
| 2024 | 10 | 303,925 | -330 |
| 2024 | 9 | 304,255 | - |
- 인구 밀도: 약 12,400명/㎢
- 특징:
- 창동·쌍문동·방학동 일대에 인구 집중
- 재개발·재건축 추진으로 중산층 및 신혼부부 유입 활발
- 고령화 비율이 높지만 젊은층 주거 선호도도 증가
- 녹지·주거 접근성이 좋아 **‘서울의 정주형 도시’**로 평가

3. 경제
도봉구의 경제는 생활상권과 중소기업 중심의 구조로, 주거와 상업이 조화를 이루는 형태를 보입니다. 최근에는 창동·상계 일대 창업·문화산업단지 개발로 지역경제의 활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주요 산업 및 상권
- 상업:
- 창동역, 쌍문역, 방학역을 중심으로 중소형 상가·쇼핑몰 밀집
- 창동역 인근 복합문화단지 조성 중 (서울아레나, K-POP 공연장 예정)
- 서비스업:
- 교육·의료·생활 편의시설 중심의 지역 서비스 산업 활발
- 중소규모 병원, 학원, 전문상점 다수
- 중소기업 및 제조업:
- 도봉산역 인근에 도시형 공장 및 기술창업기업 밀집
- 중소기업 창업 지원센터, 창동상권 활성화 추진
- 전통시장:
- 방학동 도깨비시장, 창동 신창시장 등 지역민 생활경제의 중심
도봉구는 대규모 산업단지보다는 지역 상권과 서비스 산업 중심의 생활경제형 도시로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 **문화·창업 복합지구(창동 개발사업)**가 완공되면 경제 활력이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4. 교통과 인프라
도봉구는 서울 북부의 교통 허브로서, 여러 지하철 노선과 간선도로가 교차합니다.
- 지하철 노선:
- 1호선 (도봉역·방학역·창동역)
- 4호선 (쌍문역·수유역 인접)
- 7호선 (도봉산역·창동역 연결)
- 향후 GTX-C 노선(의정부~수원) 도봉산역 경유 예정
- 도로망:
- 도봉로, 노해로, 덕릉로, 창동로 등 주요 간선도로
- 내부순환로 및 동부간선도로와 연계되어 강남·강북 접근 용이
- 주요 교통거점:
- 창동역: 광역환승센터 및 복합문화시설 개발 진행 중
- 도봉산역: 수도권 전철·지하철·GTX-C 환승 거점 예정
이와 함께, 창동역 복합환승센터와 서울아레나 개발사업이 완료되면 도봉구는 서울 동북권의 새로운 교통 및 문화 중심지로 자리잡게 됩니다.

5. 문화와 관광
도봉구는 북한산과 도봉산을 중심으로 한 천혜의 자연환경과 풍부한 역사문화 자원을 자랑합니다.
주요 관광 명소
- 도봉산·북한산: 수도권 최대 규모의 등산·트래킹 명소
- 도봉서원: 조선시대 교육기관, 서울시 문화재
- 창포원: 서울의 대표적인 생태공원
- 쌍문동 골목길: 드라마·예능 촬영지로 유명
- 서울창포원·초안산근린공원: 도심 속 힐링 명소
문화시설 및 축제
- 도봉문화예술회관, 도봉도서관, 도봉박물관, 창동문화체육센터
- 도봉산 축제, 창동거리문화제, 도봉문화예술축제 등 개최
- 지역 예술인과 주민이 함께하는 생활문화 중심지
자연과 예술, 그리고 지역 공동체가 결합된 도봉구는 **“서울 속 힐링문화도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6. 미래와 도전 과제
도봉구는 “자연과 도시의 조화, 문화와 경제의 융합”을 비전으로 삼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발전 방향
- 도시재생 및 재개발: 창동·쌍문동·방학동 일대 주거지 정비
- 스마트시티화: 교통정보·안전·환경 관리 시스템 구축
- 창동 문화경제 거점화: 서울아레나, 복합환승센터, 창업 클러스터 조성
- 친환경 정책: 도봉산·창포원 중심의 녹색 도시 인프라 강화
도전 과제
- 고령화에 따른 복지 수요 증가
- 대형 상권 부재로 인한 소비 유출
- 교통 혼잡 및 주차 공간 부족
- 도심 외곽 이미지 탈피 및 자족기능 강화 필요
도봉구는 이러한 도전 속에서도 **‘서울의 북쪽 문화경제 중심지’**로 나아가기 위한 변화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7. 결론
서울특별시 도봉구는 북한산과 도봉산이 어우러진 서울의 자연형 주거도시로,
쾌적한 환경과 재개발·교통 인프라 개선을 통해 삶의 질이 높은 생활도시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자연 속의 도시, 문화와 생활이 공존하는 곳 —
그것이 바로 서울 도봉구입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서울시 은평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0) | 2025.11.02 |
|---|---|
| 서울시 노원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0) | 2025.11.02 |
| 서울시 강북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1) | 2025.10.29 |
| 서울시 성북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0) | 2025.10.29 |
| 서울시 중랑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0) | 20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