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부산시 영도구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랭킹인투데이 2025. 11. 2. 14:02
반응형

부산시 영도구 인구수

 

 

 

 

부산광역시 영도구 인구수, 경제, 교통 완전 정리

부산의 바다 위에 떠 있는 섬 도시,
**영도구(影島區)**는 부산항과 연결된 해양·조선·관광의 중심지입니다.
부산의 유일한 도서(島) 구로서,
국내 최대의 조선 산업지와 해양문화관광지, 그리고 해운 거점 기능을 겸비한
대한민국 대표 해양 산업 도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1. 개요

영도구는 부산광역시의 남쪽 해상에 위치하며,
부산항과 영도대교로 연결된 부산항의 핵심 거점입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천혜의 해안 절경과 해양 산업 기반을 함께 갖추고 있어
산업·관광·주거가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발전 중입니다.

  • 위치: 부산광역시 남부 해상 (중구와 영도대교로 연결)
  • 면적: 약 25.3㎢
  • **부산시 전체 면적(770.03㎢)**의 약 3.3%
  • 인구: 2024년 기준 약 10만 6천 명
  • 특징: 부산항과 근접한 해양 산업 도시, 조선·물류·관광이 공존
  • 행정구역: 15개 동 (남항동, 영선동, 봉래동, 청학동, 동삼동 등)

⚓ “바다와 산업, 문화가 어우러진 섬 도시” —
영도는 부산의 해양경제와 관광의 중심지입니다.

 

 

부산시 영도구 영도대교 야경

 

 

 

 

 


2. 경제

영도구는 부산항과 조선 산업의 본거지로,
국내외 조선·해운 관련 기업들이 밀집해 있습니다.
또한, 태종대와 영도해양문화단지를 중심으로 한 관광 산업도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지역내총생산(GRDP): 부산시 해양산업 비중의 약 15% 차지
  • 주요 산업:
    • 해양 및 물류: 부산항을 통한 수출입 운송, 항만서비스, 해운 대리업
    • 조선 산업: 한진중공업, 대선조선 등 국내 대표 조선소 위치
    • 상업: 봉래동·청학동 상권 중심의 상업지, 해양관광지와 결합된 소매업
    • 서비스업: 해양 관련 연구·기술, 금융, 숙박·외식업 등
  • 주요 기업 및 기관:
    • 한진중공업, 대선조선, 부산해양대학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진흥공사

⚙️ “한국 조선산업의 뿌리이자, 해양경제의 심장” —
영도는 산업과 바다가 공존하는 부산의 대표 해양산업 도시입니다.

 

 

부산시 영도구 조선소

 

 

 

 

 


3. 인구 구조와 사회 변화

영도구는 과거 조선 산업의 발전과 함께
근로자 중심의 인구 구조를 형성했지만,
최근에는 관광산업과 해양연구시설이 확대되면서
젊은 세대와 창업 인구가 점차 유입되고 있습니다.

년도 인구수 전월비
(+, -)
2025 8 102,209 -158
2025 7 102,367 -142
2025 6 102,509 -210
2025 5 102,719 -100
2025 4 102,819 -213
2025 3 103,032 -236
2025 2 103,268 -235
2025 1 103,503 -234
2024 12 103,737 -233
2024 11 103,970 -308
2024 10 104,278 -383
2024 9 104,661 -
 
  • 인구 밀도: 약 4,200명/㎢
  • 특징:
    • 고령화 인구 약 32%로, 부산 평균보다 높음
    • 해양대학교·해양산업기관 종사자 및 관광 관련 근로자 유입
    • 해양문화단지와 청학동 일대 재개발로 인한 주거 수요 증가

🧭 “조선도시에서 해양문화도시로” —
영도는 산업 중심에서 생활과 관광이 어우러진 섬 도시로 변화 중입니다.

 

부산시 영도구 봉래동 주거 지역

 

 

 

 

 

 


4. 인프라와 교통

영도구는 육상·해상 교통이 결합된 복합 교통 중심지입니다.
영도대교·부산항대교를 통해 본토와 연결되며,
부산항과 직접 맞닿은 입지로 물류 운송 효율이 매우 높습니다.

  • 지하철:
    • 부산지하철 1호선(남포·중앙역)과 인접, 버스 환승망을 통한 연결
  • 도로:
    • 영도대교: 부산 원도심과 연결되는 상징적 교량
    • 부산항대교: 부산 남항~북항을 연결하는 대형 해상 교통망
    • 청학터널·영도연륙교: 도심 진입로 확충으로 교통 흐름 개선
  • 항만:
    • 부산항 남항 및 조선소 배후 단지 위치
    • 부산국제여객터미널, 해양산업 물류시설 근접
  • 도시개발:
    • 해양클러스터 조성사업: 동삼동 일대 해양R&D 특화지구 조성
    • 청학지구 도시재생: 친수형 해양복합단지 개발 중

🚢 “다리로 연결된 섬, 바다로 확장되는 도시” —
영도는 부산의 해양교통 중심지이자 물류·관광 허브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부산시 영도구 영도대교

 

 

 

 

 

 


5. 문화와 관광

영도는 부산의 대표적인 해양 관광도시로,
천혜의 해안 절경과 함께 다양한 해양문화 콘텐츠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태종대, 절영해안산책로, 영도대교 개도식 등은 이미 부산의 상징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주요 관광지

  • 태종대공원: 부산 8경 중 하나, 절벽과 푸른 바다의 조화가 아름다운 명소
  • 영도대교: 한국 최초의 도개교, 부산의 랜드마크
  • 절영해안산책로: 해안을 따라 조성된 절경 산책 코스
  • 흰여울문화마을: 영화 ‘변호인’ 촬영지로 유명한 예술 마을
  • 국립해양박물관: 국내 최대 해양 전문 박물관
  • 청학동 해양문화단지: 수변공원과 해양체험시설 조성 중

문화시설 및 축제

  • 문화시설: 영도문화회관, 영도도서관, 해양과학관
  • 축제:
    • 영도다리축제: 매년 10월 개최, 영도대교 개도 시연
    • 부산항축제: 영도·중구 일대에서 열리는 부산 대표 해양축제
    • 태종대 해양문화축제: 자연·예술·공연이 어우러진 지역 대표 행사

🌊 “바다가 품은 문화, 문화가 숨 쉬는 섬” —
영도는 산업과 예술,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해양문화도시입니다.

 

 

부산시 영도구 태종대공원

 

 

 

 

 


6. 미래와 도전 과제

영도구는 부산의 해양산업 중심지로서,
스마트 조선산업·해양관광·친환경 도시개발을 핵심 전략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발전 방향

  • 스마트 해양도시: 디지털 조선기술 및 해양물류 자동화
  • 관광 인프라 강화: 태종대·절영해안·흰여울마을 연계 관광벨트 조성
  • 친환경 항만개발: 탄소중립형 항만 및 해양에너지 실증단지 추진
  • 도시재생: 구도심 주거환경 개선 및 해양문화 창업공간 조성

주요 과제

  • 조선업 경기 변동에 따른 산업 안정성 확보
  • 관광지 상권 활성화와 주거지 재정비의 균형 유지
  • 해양오염 및 교통 혼잡 문제 해결

⚙️ “산업의 뿌리에서 미래 해양도시로” —
영도는 부산의 지속 가능한 해양 산업·관광 복합도시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부산시 영도구 미래

 

 

 

 

 


7. 결론

부산광역시 영도구는 바다를 기반으로
산업, 관광, 문화가 공존하는 해양 복합 도시입니다.
조선과 해운의 역사, 태종대의 자연경관, 영도대교의 상징성은
영도를 부산의 정체성 그 자체로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 “바다가 품은 도시, 부산의 심장” —
그것이 바로 부산 영도구입니다.

반응형